반응형

통합재정수지 / 관리재정수지
: 통합재정수지는 정부의 총수입과 총지출의 차이.
: 관리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사회 보장성 기금의 수지를 뺀 것.

가정이나 기업은 수입을 최대한 늘리고 지출을 줄여서 이익을 많이 내야 칭찬받는다.

그러나 정부는 조금 다른 차원이다.
많은 경제학자는 재정의 수입과 지출이 일치하도록 균형을 맞추는 게 바람직하다고 본다. 
재정흑자(수입 > 지출)는 국민한테서 필요 이상으로 돈을 걷었다는 뜻이고,
재정적자(수입 < 지출)은 국민이 미래에 갚아야 할 빚을 늘렸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나라 살림이 흑자인지 적자인지, 그 규모가 얼마인지는 통합재정수지로 알 수 있다.
정부의 모든 수입에서 모든 지출을 뺀 것으로 일반회계, 특별회계, 기금이 모두 포함된다.
그런데 통화재정수지에는 국민연금, 사학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사회 보장성 기금의 흑자가 재정수입으로 잡힌다. 이 돈은 미래에 지금 하기 위해 쌓아뒀을 뿐 정부가 운용할 수 있는 재정 여력으로 보기 어렵다.
이런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함께 작성하는 것이 관리재정수지다.

관리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에서 사회 보장성 기금의 수입, 지출을 제외한 것이다.
국가의 실질적인 살림살이를 보다 명확하게 관찰하는 데 도움을 준다.
정부는 재정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통합재정수지를, 재정 건전성은 관리대상수지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다만 관리재정수지는 우리나라가 만든 지표여서 다른 나라와 비교하긴 어렵다.

한국의 통합재정수지와 관리재정수지는 1990년대 이후 경제상황에 따라 흑자, 균형, 적자를 오갔다. 문재인 정부 들어서는 정부 지출을 적극 확대하는 과정에서 두 재정수지의 적자 규모가 급증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2019년을 기준으로 통상 정부의 수입, 지출 가계부로 불리는 관리재정수지의 지난해 적자 폭이 계획 커졌다.

기획재정부의 발표로는 지난해 11월까지 관리재정수지 적자 폭은 45조 6,000억으로 지난해 추가경정 예상 당시 정부 계획보다 3조 3,000억이 더 컸다.

반응형

'경제 관련 용어정리 > 경제신문 기본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퓰리즘  (0) 2022.11.30
재정건전성  (0) 2022.11.23
스태그플레이션  (0) 2022.11.18
디플레이션  (0) 2022.11.18
하이퍼인플레이션  (0) 2022.11.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