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
: 기업 주가에 영향을 줄 만한 사안을 정기 또는 수시로 투자자에게 알리도록 의무화한 제도
투자의 성공확률을 높이려면 '카더라 통신' 말고 기업의 공시 정보부터 활용해야 한다.
공시는 기업의 재무 상황, 영업실적, 경영상 중요 사안 등을 이해관계자에게 알리는 제도다.
주식시장을 공정하게 운영하기 위해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다.
증권을 발행한 기업에는 법에 따라 공시 의무가 부과된다.
공시는 주기적으로 올려야 하는 정기 공시와 특별히 알려야 할 일이 있을 때 올리는 수시공시로 나뉜다.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소문이 돌거나 언론 보도가 나올 때, 한국거래소가 사실 여부를 질문하면 상장사는 의무적으로 답변해야 하는 조회공시라는 제도도 있다.
정기 공시의 대표적 항목인 사업보고서(1년 단위), 반기보고서(6개월 단위), 분기 보고서(3개월 단위) 등에는 각종 재무제표가 들어있다.
기업의 경영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수시공시에는 인수합병(M&A), 대규모 신규 투자, 생산 중단, 부도 등 기업 활동과 관련한 중요 정보가 담겨 있는 만큼 꼭 챙겨봐야 한다.
공시는 누구나 투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기 때문에 인터넷(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으로 모두 공개한다.
DART에는 정보의 홍수라 느껴질 만큼 온갖 회사의 온갖 정보가 쏟아진다.
경제신문 기자들은 공시만 잘 봐도 남들이 놓치는 분석 기사를 여러 개 쓸 수 있다고 할 정도다.
공시제도가 운용되는 것은 기관투자자보다 개인투자자는 대부분 정보력 면에서 열세이기 때문이다.
중요 정보를 소수가 독점해 이득을 취하는 일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기업이 고의였든 실수였든 잘못된 내용을 공시하면 강력한 제재를 받게 된다.
부실, 허위 공시가 드러나면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되거나 형사 고발 등까지 당할 수 있다.
'경제 관련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O (0) | 2023.01.07 |
---|---|
불완전판매 간단정리 (0) | 2023.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