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츠(REITs :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 주식발행을 통해 여러 투자자에게 자금을 모아 부동산이나 부동산 관련 유가증권에 투자한 뒤 생긴 이익을 배당하는 투자회사
리츠는 불특정 다수에게서 돈을 모집해 빌딩 상가, 호텔 등 부동산에 투자한 뒤 여기서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되돌려주는 특수회사를 말한다.
국내에는 2001년 처음 도입됐는데 부동산 간접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투자 문턱이 꾸준히 낮아지는 추세다.
법적으로 리츠는 상법에 따라 설립된다.
그래서 일반적인 기업과 마찬가지고 주식시장에 상장해 자유롭게 사고판다.
EX) 코스피에 있는 이리츠코크렙은 이랜드 5개 유통점포에서 임대료를 거둬 수익을 내는 리츠다.
그리고 코스피에 있는 맥쿼리인프라는 백양터널, 부산항 신항, 인천대교 등을 비롯한 여러 사회기반시설(SOC)에 투자하므로 주식 구매 시 간접투자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리츠의 장점은 적은 돈으로 보통 큰 금액이 드는 부동산 투자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러 명의 돈을 모아 운영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리츠마다 여러 종류의 부동산을 편입하고 있어 분산 투자도 기대할 수 있다.
무엇보다 수익률이 꽤 높다...
2018년 국내 리츠의 평균 수익률이 연 8.5%를 기록했다.
같은 해 은행 예금 평균 금리는 연 1.78%였다.
정부는 리츠 셔지자 활성화를 위해 세금까지 깎아주고 있다.
초보자에게 쉽지 않은 부동산 매입, 임대, 관리 등을 전문가들이 대신해 준다는 점도 매력 있다.
하지만 부동산 임대에 실패해 손해가 나도 그 누구도 원금 보장을 해주지 않는다.
리츠를 운용하는 회사가 어디인지, 어떤 부동산을 담는지를 꼼꼼하게 따져봐야 한다.
롯데그룹은 롯데리츠
농협 자산운용은 농협 리츠
국내 1위 부동산 자산운용사인 이지스 자산운용도 리츠를 상장했다.
커피 한 잔 값으로 대형 빌딩에 투자할 수 있는 공모 리츠가 매력 있게 느껴진다.
이지스 자산운용은 서울 태평로빌딩과 제주 조선호텔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리츠
목표 공모 규모는 2350억. 예상 배당수익률은 연 6%대였다.
롯데그룹 유통매장을 담은 롯데리츠는 예상 공모 규모가 대략 4300억.
농협 리츠는 삼성 물산 서초사옥 등 서울 유명 사무용 빌딩 지분에 투자하고 1000억 규모다.
'경제 관련 용어정리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F (0) | 2022.11.09 |
---|---|
역세권 (0) | 2022.11.09 |
건폐율 / 용적률 (0) | 2022.11.08 |
공급면적 / 전용면적 (0) | 2022.11.08 |
젠트리피케이션 (0) | 2022.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