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퓰리즘
: 대중의 인기에 영합하는 정치행태를 비판적으로 가리키는 말
2007년 대통령 선거에 나왔던 허경영 씨는 파격적인 현금 살포 공약으로 세간의 관심을 끌었다. 결혼하면 1억, 출산하면 5000만원을 주고 전업주부에게 100만원, 노인에게 매달 70만원을 준다는 식이다. 기자들이 그에게 재원 조달방안을 묻자 이런 황당한 답이 돌아왔다. 1만원 이상은 현금을 못 쓰게 해서 세금 탈루를 200조 줄이고, 지방선거를 없애서 160조를 절약하겠다고.
허 씨 같은 극단적 수준은 아니더라도, 정치인들이 대중의 인기를 얻기 위해 선심성 정책을 쏟아내는 모습을 숱하게 볼 수 있다. 이런 대중 영향 주의적 정치행태를 꼬집는 말이 바로 포퓰리즘이다.
포퓰리즘의 어원은 미국에서 1891년 미국에서 결성된 포퓰리스트당에서 유래했다. 이들은 미국 양대 정당인 민주당과 공화당에 맞서 농민과 노조의 지지를 이끌기 위해 경제적 합리성을 도외시한 파격적인 정책을 내세웠다. 국내에서는 무상급식, 기초연금, 아동수당 등 복지정책의 대상과 규모가 확대되는 과정에서 포퓨리즘 논란이 거세게 일곤 했다.
원래 표퓰리즘의 핵심은 일반 대중을 정치의 전면에 내세우는 것으로, 소수의 지배집단이 통치하는 엘리트주의와 대립하는 의미를 가졌다. 하지만 포퓰리즘 성향의 저은 이치 지도자들이 오직 대중의 입맛을 사로잡을 목적으로 선심성 정책을 남발한 사례가 많았던 탓에 이들을 비판하는 뉘앙스가 강해졌다. 최근 유럽에서 태동한 이탈리아 오성운동, 프랑스 국민전선, 독일 독일을 위한 대안 등의 정당도 포퓰리즘 세력의 계보를 잇고 있다.
'경제 관련 용어정리 > 경제신문 기본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정건전성 (0) | 2022.11.23 |
---|---|
통합재정수지 /관리재정수지 (0) | 2022.11.23 |
스태그플레이션 (0) | 2022.11.18 |
디플레이션 (0) | 2022.11.18 |
하이퍼인플레이션 (0) | 2022.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