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화스와프(currency swap)
: 두 나라가 필요시 각자의 통화를 사전에 정한 환율로 교환하는 외환거래. 경제위기 상황에 대비하는 수단으로 활용한다.

통화스와프는 서로 다른 두 통화를 맞바꾼다(swap)는 뜻이다. 원래는 금융시장에서 위험 회피나 외화 조달 목적으로 거래되는 파생상품의 하나지만, 국가 간의 통화 맞교환 계약을 의미하는 용어로 더 널리 쓰이고 있다.

통화스와프를 쉽게 말하면, 필요할 때 언제든 상대국의 통화를 빌려 쓸 수 있도록 약속하는 외화 마이너스 통장이라 할 수 있다. 통화스와프는 외화보유액과 더불어 국가 외환위기를 예방할 수 있는 양대 안전관으로 통한다. 한국이 맺은 통화스와프 계약은 2020년 3월 기준 2000억달러 이상 규모다. 캐나다, 미국, 스위스, 중국, 호주,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아랍에미리트, 아세안 +3 국가 등이다.

통화스와프는 평소엔 별 필요가 없어도 위기 상황에서 진가를 발휘한다. 이를 잘 보여주는 사례가 2008년 10월 미국과 맺은 300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세계 경제가 흔들리는 가운데, 국내 금융시장은 급격한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곤두박질치고 있었다.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 소식 한 방에 하루 새 원화 가치가 177원 뛰어올랐고 주가도 12% 치솟으면서 시장의 불안심리가 가라앉았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016년 10월 보고서에서 신흥국이 위기 때 활용할 수 있는 유동성 조달 수단으로 통화스와프가 가장 유용하다고 분석했다. 외화보유액을 소진하거나 IMF 대출을 받는 것보다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고 정치적 부담도 적다는 이유에서다. 한국과 같은 소규모 개방경제일수록 주요 선진국과의 통화스와프 체결이 더더욱 유용한 안전장치로 평가된다.

다만 국가 간의 거래인 만큼 정치, 외교적 상황이 변수가 될 수 있다. 한·일 통화스와프가 대표적 사례다. 한국과 일본은 2001년 20억달러짜리 첫 통화스와프 계약을 시작으로 2011년 700억달러까지 규모를 증액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 때 독도 문제, 박근혜 정부의 위안부 소녀상 문제 등을 빌미로 일본이 연장을 거부하면서 계약이 완전히 종료됐다.

한국은 미국 중앙은행 Fed와 600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 계약은 체결했다.
미국과의 통화스와프 계약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10월 30일 체결한 300억달러 계약에 이어 이번이 두 번쨰다. 당시 계약은 2010년에 종료됐다.

반응형

'경제 관련 용어정리 > 세금, 은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 없는 사회  (0) 2022.12.04
시뇨리지(화폐주조차익)  (0) 2022.12.04
지역화폐  (0) 2022.12.03
암호화폐  (0) 2022.12.03
SDR  (0) 2022.12.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