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화보유액
: 정부와 중앙은행이 비상사태에 대비해 비축한 외화자산
외화보유액은 정부와 중앙은행이 쌓아둔 외화자산을 말한다.
금융회사들의 해외 차입이 막혀 대외결제가 어려워지는 긴급상황에 대비하고, 외화가 부족해 환율이 급상승할 때 외환시장을 진정시키는 데로 쓰인다.
'국민경제의 안전판'이라 불리는 이유다.
외환위기가 절정으로 치달았던 1997년 12월 18일, 한국의 외화보유액은 39억 달러까지 떨어진 적이 있다.
국가부도 직전까지 갔다는 얘기다.
그랬던 외화보유액이 4000억달러 이상으로 넉넉해진 것은 국가의 대외 지급 능력이 좋아졌다는 의미다.
국가신인도가 높아져 투자 유치가 쉬워지고, 민간 기업과 금융회사의 해외 자본조달 비용도 낮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우리나라 외화보유액은 한국은행 보유분과 정부 보유분(외국환평형기금)으로 나뉜다.
정부 보유분은 대부분 한국은행에 예금되기 때문에, 외화보유액 운용은 한국은행이 책임진다고 볼 수 있다.
외화보유액은 위기가 감지되면 언제든 꺼내쓸 수 있어야 하는 만큼 유동성과 안정성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
그래서 80%가량을 우량채권으로 굴린다.
또 달러, 유로, 엔, 파운드 등 여러 통화에 분산 투자하고 있다.
다만 외화보유액이 지나치게 많아도 논란이 뒤따른다.
정부가 외화를 쌓아두는 데 따른 기회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외화보유액은 대부분 안전자산에 투자되기 때문에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기 어렵다.
다른 쏠쏠한 투자 기회 잃는다는 뜻과 같다.
외화보유액의 적정 수준은 명확한 기준이 없다.
다만 신흥국일수록 유사시에 대비해 가급적 넉넉히 확보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미국 같은 나라는 어차피 자국 통화가 기축통화니 외화보유액을 많이 쌓아둘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
우리 정부는 소규모 개방경제에 지정학적 특수성이 강한 한국의 상황을 감안하면, 충분한 수준의 외화보유액을 유지하는 게 위기 재발 방지를 위해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한국의 2020년 외화보유액은 4096억 5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외화보유액이 늘어나는 경우는 한국은행이 보유한 미국 국채 등의 매매 차익과 이자 수익의 증가에 있다...
그리고 달러화 가치가 뛰면 유로화 엔화 등 비달러화의 달러 환산액이 준다.
'경제 관련 용어정리 > 글로벌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조작국 (0) | 2022.12.14 |
---|---|
고정환율 / 변동환율 간단정리 (0) | 2022.12.14 |
양적완화 간단정리 (0) | 2022.12.10 |
커플링 / 디커플링 간단정리 (0) | 2022.12.10 |
ISD 간단정리 (0) | 2022.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