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Brexit)
: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영국(Britain)과 탈퇴(Exit)를 합친 말이다.
2020년 1월 31일 밤 11시. 영국은 EU 회원국에서 공식 탈퇴했다.
2016년 6월 국민투표 가결 후 3년 7개월 동안 세계 경제를 불확실성에 몰아넣었던 브렉시트가 완결되는 순간이다.
브렉시트는 2010년대 초 유럽 재정위기가 심화하면서 불거졌다.
EU 회원국이라는 이유로 재정이 부실한 다른 회원국에 돈을 지원해야 하는 데 회의론이 적지 않았다.
이민자 유입으로 일자리가 갈수록 줄고, EU의 온갖 규제를 적용받는 점도 불만을 키웠다.
2013년 보수당의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는 이들의 표를 의식해 EU 탈퇴 국민투표를 시행하겠다고 선언했다.
국론 분열에 가까운 찬반 여론전 끝에 2016년 6월 이뤄진 국민투표의 결과는 찬성 51.9%, 반대 48.1%.
부결될 가능성이 높다는 예상을 깨고 통과됐다.
실제 이혼 도장을 찍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
EU와의 관계를 완전히 끊는 하드 브렉시트를 할지,
분담금을 내고 일정 수준의 혜택은 유지하는 소프트 브렉시트를 할지를 놓고 여론이 또 갈라졌다.
아예 EU 탈퇴를 없던 일로 하자는 목소리도 컸다.
혼란을 정리할 구원투수로 투입된 테리사 메이 총리는 2017년 EU에 탈퇴 의사를 통보하고, 이듬해 11월 브렉시트 협상을 마무리했다.
하지만 EU와의 합의안이 하원에서 잇따라 부결되면서 브렉시트 시한은 두차례 연기됐다.
메이의 후임자는 보리스 존슨 총리는 합의를 못 보는 노딜 브렉시트를 감수하더라도 EU를 탈퇴하겠다고 했다.
하원을 물갈이하기 위한 조기 총선 배수진이 먹혀들면서 브렉시트를 위한 입법 절차를 모두 마쳤다.
EU의 울타리를 벗어난 영국은 대영제국 시절의 잘나가던 위상을 되찾길 꿈꾸고 있다.
브렉시트가 영국과 EU에 독이 돌지, 약이 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
영국은 EU 의존도가 높은 무역구조를 다변화하고, 다른 나라와 자유무역협정(FTA) 등을 통해 경제의 판을 새로 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1993년 출범 후 첫 탈퇴 국이 나온 EU는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특히 유럽 내 2위 경제 대국이던 영국의 탈퇴는 EU의 영향력을 위축시킬 것이란 지적이 많다.
'경제 관련 용어정리 > 글로벌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랙프라이데이 / 광군제 간단정리 (0) | 2022.12.16 |
---|---|
모디노믹스(Modinomics) 간단정리 (0) | 2022.12.16 |
BRICS(브릭스) 간단정리 (0) | 2022.12.16 |
일대일로 (0) | 2022.12.16 |
희토류(rare earth metal) 간단정리 (0) | 2022.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