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블랙 프라이데이 / 광군제
: 미국과 중국의 유통업체들이 벌이는 대규모 할인행사. 블랙 프라이데이는 추수감사절 다음날인 11월 마지막 주 금요일. 광군제는 11월 11일

해외 직구가 대중화되면서 미국의 블랙 프라이데이는 한국인에게도 익숙하다.

블랙 프라이데이는 추수감사절 다음날(매년 11월 마지막 주 금요일) 열리는 대대적인 할인행사다.

평소 적자(red)를 기록하던 상점도 이날만큼은 흑자(black)를 본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전미 소매협회에 따르면 블랙 프라이데이에 미국인은 1인당 1000달러 이상을 쓴다.

이날 미국의 오프라인 매장에는 최대 80~90% 싸게 나온 물건을 먼저 잡으려는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룬다.

바로 그다음 돌아오는 월요일은 사이버 먼데이(Cyber Monday)라 한다.
추수감사절 연휴의 쇼핑객을 잡기 위해 온라인 쇼핑몰들이 할인 대열이 합류한다.

블랙 프라이데이와 사이버 먼데이를 신호탄으로 개막하는 연말 쇼핑 시즌은 미국 유통업계 1년 매출의 20% 이상을 차지한다.

미국의 소비심리를 파악하는 잣대이기도 하다.

모방의 천재 중국은 블랙 프라이데이를 베낀 쇼핑 축제를 만들었다.

중국 최대 인터넷 쇼핑몰 알리바바 주도로 11월 11일 열리는 광군제다.

광군제는 1이 네 번 겹친다고 해서 솔로의 날을 뜻한다.

알리바바가 2009년 독신자를 위한 세일을 시작한 것이 해마다 판이 커졌다.

2019년 광군제 때 알리바바 매출은 96초 만에 100억위안을 돌파했다.

중국 전체의 광군제 매출은 1조 4800억위안을 기록했다.
그리스, 뉴질랜드 등의 국내총생산(GDP)과 맞먹는 금액이다.

한국 정부도 비슷한 행사를 키운다며 2015년 코리아 세일 페스타를 만들었지만 좋지 않다.

유통구조와 내수시장 환경의 차이 때문이다.
미국 유통업체는 물건을 직접 매입해 재고를 책임지고 가격도 마음대로 매긴다

반면 한국은 물건을 매입하지 않고 입주업체에 공간만 빌려주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인구 대국인 중국처럼 규모의 경제를 기대하기도 어렵다.
정부가 주도하고 기업은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참여하는 행사라는 비판이 늘 따라다닌다.

2019년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 하루 동안 미국 내 온라인 쇼핑 규모는 74억달러(약 8조 7320억)를 기록했다.

블랙프라이데이 하루 전인 추수감사절에 이뤄진 온라인 쇼핑 규모도 42억달러에 달했다.
작년 같은 기간보다 14.5% 증가했다.

미국 소비자들이 추수감사절과 블랙프라이데이 이틀간 116억 달러어치를 온라인에서 산 셈이다.

소비의 중심축이 온라인으로 이동하는 데 가장 큰 수혜자는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다...
연말 쇼핑 시즌의 온라인 매출 가운데 42%를 아마존이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에 반해 오프라인 소매유통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2% 감소했다.
대형 백화점 업계가 큰 타격을 받았다.

메이시스, 콜스 등의 매출이 작년에 비해 25% 이상 감소했고, 오프라인 신발매장 풋 로커도 25% 넘게 매출이 줄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