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캐니벌라이제이션(cannibalization, 자기잠식효과)
: 기업의 신제품이 기존 주력상품의 매출을 깎아 먹는 현상

카메라에 필름을 넣어 사진을 찍던 시절, 필름 시장의 독보적 1위 업체는 미국 코닥이었다.

1880년 설립돼 세계 표준이 된 35 mm 필름을 내놓은 이 회사는 시장점유율이 90%에 달했다.

하지만 디지털카메라의 급속한 확산에 대응하지 못하고 2012년 파산했다.
지금은 변화를 두려워하다가 망한 기업의 대표 사례로 경영학 교재에 남아있다.

사실 코닥은 1975년 일찌감치 디지털카메라를 개발했다.
세계 최초 디지털카메라를 출시한 일본 소니보다 6년 앞섰다.

하지만 만들기만 하고 시장에 내놓지 않았다.
괜히 필름 매출만 깎아 먹을 것이란 우려 때문이었다.

뒤늦게 공개된 1981년 코닥의 내부 보고서에서는 디지털카메라가 불러올 시장 충격을 정확히 예견했는데, 대응을 주저하다 최대 희생양이 되었다.

코닥이 걱정했던 자기잠식효과를 캐니벌라이제이션이라고 부른다.
동족 살해를 뜻하는 카니발리즘에서 유래한 단어로 새로 내놓은 제품이 매출 증대에 기여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기존 주력상품의 매출을 떨어뜨리는 현상을 가리킨다.

캐니벌라이제이션은 예나 지금이나 많은 기업의 고민거리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갤럭시A라는 이름으로 중저가 스마트폰 양산에 들어갈 당시 갤럭시S 매출을 잠식하는 게 아니냐는 식의 지적이 많았다.

수익성 낮은 신제품이 수익성 높은 기존 제품을 대체하면 회사 전체의 수익성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논리였다.

하지만 자기잠식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신제품 출시를 미루면 경쟁사에 기회를 내주는 꼴이 될 수 있다.
기업들은 경쟁사의 시장 침투를 막기 위해 꾸준히 신제품을 출시한다.

애플의 경우에도 맥북 수요를 빼앗을 수 있는 아이패드, 아이팟 수요를 잠식할 수 있는 아이폰 등을 지속해서 내놓으면서도 성장을 이어왔다.

뒤집어 보면, 자기 잠식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은 시장에 아직 성장 가능성이 남아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반응형

'경제 관련 용어정리 > 기업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레토 법칙 / 롱테일 법칙  (0) 2022.12.20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간단정리  (0) 2022.12.20
규모의 경제  (0) 2022.12.20
메기 효과  (0) 2022.12.20
네트워크 효과  (0) 2022.12.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