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디락스(Goldilocks)
: 경제가 견실하게 성장하고 물가는 안정을 유지하는 이상적인 호황 상태
1992년 미국 경제학자 데이비드 슐먼이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이 모두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면서 견실하게 성장하는 상황을 동화 속 소녀에 빗대 "골디락스 경제"라고 이름 붙였다. 이 표현이 유행하면서 골디락스라는 말은 경제 용어로 자리 잡았다.
영국 전래동화 '골디락스와 세 마리 곰'에는 골디락스라는 이름의 금발 머리 소녀가 등장한다. 숲속을 헤매던 골디락스는 우연히 들어간 집에서 곰이 끓여 놓고 간 수프 3그릇을 발견한다. 첫 수프는 너무 뜨거웠고, 두 번쨰 수프는 너무 차가웠다. 세 번째 수프는 딱 먹기 좋은 따뜻한 상태였다. 너무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적당한 온도의 수프를 다 먹은 골디락스는 단잠에 빠져든다.
딱 좋은 세 번째 수프를 마신 골디락스를 빗대어 용어가 탄생하였다.
성장, 고용, 물가 등이 동시에 호조를 보이는 골디락스는 모든 나라가 꿈꾸는 경제 상황이다. 골디락스의 대표적 사례는 1996~2005년 미국이 누린 장기 호황이었다. 당시 미국경제는 연 4% 이상의 고성장을 기록하면서도 물가는 그다지 요동치지 않았다. 정보기술(IT)산업과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기업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 덕분이었다.
골디락스의 개념은 마케팅 전략에서 '골디락스 가격'이란 이름으로 응용되기도 한다. 고가 상품, 저가 상품, 적당한 가격의 물건을 동시에 진열해 소비자들이 중간 가격 상품을 집어 들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양극단보다 평균에 가까운 선택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이용한 방식이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물가상승률 2%를 주시한다. 2%를 밑돌면 괜찮은 수준으로 파악하는 듯?
'경제 관련 용어정리 > 경제신문 기본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의 효과, 자산효과 (0) | 2022.10.20 |
---|---|
완전고용 (0) | 2022.10.18 |
잠재성장률 (potential growth rate) (0) | 2022.10.18 |
그린북 (Green Book) (0) | 2022.10.18 |
경기종합지수 (0) | 2022.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