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기종합지수
: 경기변동의 국면과 전환점, 속도와 진폭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경기지표의 일종

국가 차원에서 경기를 판단하기 위해 통계청은 생산, 소비, 고용, 금융, 투자 등 부문별로 경기흐름을 잘 드러내는 20개 경제지표를 골라 매달 '경기종합지수'를 발표한다.

기준연도의 수치를 100으로 잡고 상대적인 수준을 보여준다.
전달보다 올랐으면 경기 상승, 떨어졌으면 경기 하강을 나타낸다.
증감률의 크기로 경기 변동의 진폭도 알 수 있다.

경기종합지수에는 선행, 동생, 후행 종합지수 3종류가 있다.

선행종합지수 : 8개 지표(재고순환지표, 소비자기대지수, 건설수주액, 기계류내수출하지수, 수출입물가비율, 코스피지수, 장단기금리차, 구인구직비율)로 구성된다.

선행종합지수는 경기를 앞서가는 경향이 있어 6-9개월 후의 경기 예측에 유용하다.

동행종합지수 : 7개 지표 (광공업생산지수, 서비스업생산지수, 소매판매액지수, 내수출하지수, 건설기성액, 수입액, 비농림어업취업지수)로 이뤄진다.

동행종합지수는 현재 경기와 비슷하게 움직이는 지표들이다.

후행종합지수 : 5개 지표 (생산자제품재고지수, 소비자물가지수변화율, 소비재수입액, 취업자수, CP유통수익률)가 포함된다. 경기를 뒤늦게 반영하니 아무래도 관심은 덜 받는다. 

예를 들어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전월 대비 각각 0.2포인트 씩 떨어졌다. 
현재 경기 국면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3
향후 경기 국면을 보여주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7,7 이라면

동행,선행 지수 순환변동치는 100을 기준으로 100보다 높으면 경기가 좋은 것으로, 낮으면 안 좋은 것으로 해석한다. 

(순환변동치 : 정확한 비교를 위해 계절적 요인, 불규칙 변동 등을 제거한 숫자라는 의미다.)


반응형

'경제 관련 용어정리 > 경제신문 기본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전고용  (0) 2022.10.18
골디락스 (Goldilocks)  (0) 2022.10.18
잠재성장률 (potential growth rate)  (0) 2022.10.18
그린북 (Green Book)  (0) 2022.10.18
경기순환  (0) 2022.10.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