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적기업
: 이윤 추구 외에 사회적 가치 실현도 중시하며 생산, 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

기업의 목표는 무엇일까?
경제학 교과서에 나오는 정답은 이윤추구다.

요즘 회사마다 상생과 사회공헌을 강조하면서 착한 기업 이미지를 심기 위해 힘을 쏟지만 기본적으로 기업은 돈을 잘 벌어야 한다.

이익을 많이 내서 꾸준히 성장해야 직원과 협력 업체를 먹여 살리고 기부도 할 수 있다는 얘기다.

사회적 기업은 이런 전통적인 기업론에 반기를 들고 등장한 새로운 개념의 기업이다.
이윤 추구가 기업의 유일한 목적이 될 수는 없다는 게 핵심이다.

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에 일자리, 교육, 보건,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생산, 판매, 영업 등의 활동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회사를 말한다.

영리기업과 비영리단체(NGO)의 중간 형태로 볼 수 있다.

사회적 기업은 NGO와 비슷하게 사회문제 해결이 최대 목표다.
다만 NGO는 정부나 기부자의 도움이 없으면 유지가 쉽지 않다는 게 한계다.

사회적 기업은 외부 지원에 기대지 않고 재정 자립을 이뤄내기 위한 수단으로 영리활동을 선택하는 것에 가깝다는 얘기다.

사회적 기업은 유형에 따라 이 정도로 분류된다.
1. 사회서비스 제공형
2. 일자리 제공형
3. 지역사회 공헌형
4. 혼합형
5. 기타형 

사회적 기업으로 정부 인증을 받으면 인건비 보고, 세금 감면, 정책자금 공금, 판로 지원, 경영컨설팅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국내에는 2020년 2월까지 2400개 넘는 사회적 기업이 등록됐다.
대기업과 협력해 취약계층 지원에 기여하는 등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지만, 대부분 경영 역량이 부족해 여전히 정부 예산에 의존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2017년 전체 사회적기업의 45%는 적자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형

'경제 관련 용어정리 > 기업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계기업  (0) 2022.12.19
히든 챔피언  (0) 2022.12.18
페이퍼 컴퍼니(paper company)  (0) 2022.12.18
지주회사  (0) 2022.12.17
주식회사 / 유한회사 / 유한책임회사 간단정리  (0) 2022.12.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