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계기업
: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상태가 3년 연속 지속되는 회사

공포영화에서 시체가 주술을 받고 살아나 선량한 사람들을 공격하는 장면을 자주 볼 수 있다.
서구권 영화에선 좀비, 중화권 영화에선 강시가 단골로 등장하는 캐릭터다.

언론과 전문가들은 한계기업의 동의어로 좀비기업이란 표현을 쓴다.
중국에선 강시기업이라 부른다.
한계기업의 특성이 좀비나 강시와 정확히 들어맞는 데다 대중이 이해하기 쉽기 때문일 것이다.

한계기업이란 재무구조가 망가져 자신의 힘으로 살아남을 가능성이 줄고 있는 회사를 말한다.
정상적인 기업과 한계기업을 구분하는 기준은 빚을 잘 갚고 있느냐다.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 미만이면 한계기업으로 분류한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1년 치 영업이익을 그 해 갚아야 할 이자 비용으로 나눈 것이다.
이 값이 1을 밑돈다면, 사업해서 번 돈으로 은행에서 빌린 채무의 이자조차 갚지 못했다는 뜻이다.

이런 상태가 3년째 지속됐다면 경쟁력이 상당히 훼손됐다고 보는 게 맞다.
기업은 영업이익으로 원금을 다 갚진 못하더라도 최소한 이자는 감당할 수 있어야 정상적으로 굴러간다.

시장원리대로라면 진작 정리됐어야 할 한계기업이 현실에서는 정부나 채권단의 지원으로 파산만 면하고 간신히 연명하는 사례가 많다.
문제는 좀비가 사람을 해치듯 좀비기업도 나라 경제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점이다.

자원이 한정된 상황에서 정상적인 기업이 투자를 집행하기 위해 자금을 조달하는 길을 가로막기 때문이다.
좀비기업에 빌려준 돈은 떼이기 쉽다는 점에서 금융권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

1990년대 일본은 경제 거품이 꺼지면서 좀비기업이 속출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장의 경제 충격을 걱정해 한계기업을 과감히 정리하지 못했다.
결국 은행이 망가지고, 일본 경제가 장기 침체로 빠져드는 한 원인이 됐다.

반응형

'경제 관련 용어정리 > 기업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호출자 / 순환출자 간단정리  (0) 2022.12.19
피터팬 증후군  (0) 2022.12.19
히든 챔피언  (0) 2022.12.18
페이퍼 컴퍼니(paper company)  (0) 2022.12.18
사회적 기업  (0) 2022.12.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