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V (Loan To Value ratio) 담보인정비율
: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인정되는 자산가치의 비율
DTI ( Debt To Income ratio) 총부채상환비율
: 소득에서 부채의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
LTV = 담보인정비율 = 총부채상환비율은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대출한도를 결정한다.
LTV : 집값 대비 얼마까지 대출할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ex) LTV가 60%라면 시세 5억 아파트를 담보로 빌릴 수 있는 금액이 최대 3억이다.
DTI : 대출받은 사람이 소득 중 대출 상환에 얼마까지 쓸 수 있는지를 말한다.
ex) DTI가 50%라면 연봉 1억인 사람은 연간 원리금(원금 + 이자금) 상환액이 5000만원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돈을 빌릴 수 있다.
LTV, DTI 상한선을 높이면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늘면서 부동산 거래가 활발해지는 경향이 있다. 사람들이 돈을 더 많이 끌어다 더 좋고 더 비싼 집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ex) 부동산 경기 부양에 나선 박근혜 정부는 LTV 70%, DTI 60%로 높였다.
시장에서 이 뜻은 돈을 더 많이 빌릴 수 있으니 '빚내서 집 사라'는 신호로 받아들여졌다.
LTV, DTI 상한선을 낮추면 부동산 거래를 위축시킨다.
ex) 문재인 정보는 서울 1주택자가 집을 한 채 더 사거나 초고가 아파트를 구매할 때 LTV를 0%로 낮췄다.
'무리하게 대출받아 살 생각 말라'는 의미다.
그러나 일부 대도시를 제외한 지방은 부동산이 침체한 점을 고려해 LTV 조이지 않았다.
-정부는 LTV와 DTI의 상한선을 조절하여 부동산이나 투기를 억제하는 규제 수단으로 활용한다. 모든 국민에 일률적으로 적용할 때도 있고
지역, 소득, 주택 보유 여부 등에 따라 차등 적용하기도 한다.
'경제 관련 용어정리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딤돌대출/보금자리론/적격대출 (0) | 2022.10.31 |
---|---|
RTI (0) | 2022.10.31 |
DSR (총체적상환능력비율) (0) | 2022.10.11 |
부동산 공시가격 (0) | 2022.10.06 |
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가점제 (0) | 2022.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