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SR (Debt Service Ratio) 총체적상환능력비율
: 담보대출, 신용대출 등 모든 금융부채의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비율
오랜 시간 부동산 대출 규제 수단으로 LTV, DTI가 활용되었는데
2018년 추가로 도입된 것이 DSR이다.
금융회사에서 대출받을 떄 LTV, DTI, DSR을 충족해야 원하는 만큼 돈을 빌릴 수 있다.
기본적으로 DTI(총부채상환비율)와 비슷한데
대출받는 사람이 총소득 중 빚을 갚는 데 얼마나 쓰는지를 나타낸다.
DTI는 연봉에서 몇 프로를 집값으로 빌릴 수 있나? 쳤다면
그리고 DTI는 주택담보대출은 원금과 이자를, 신용대출 등 나머지 대출은 이자만 계산했다.
DSR은 총체적상환능력비율이니까
원리금(원금+이자) 상환액을 계산할 때 주택담보대출 말고도 모든 금융부채를 반영한다는 것이다.
주택담보대출의 원금과 이자는 물론 신용대출, 마이너스통장, 카드론, 자동 차 할부금, 신용카드 미결제액 등의 원금과 이자도 일정 비율로 반영한다.
ex) 연 소득 1억인 직장인이 3개 금융 회사에서 1년간 원금 3000만원, 이자 1000만원을 갚아야 한다면 DSR은 40%다.
DSR은 꽤 강력한 대출 규제로 평가받는다.
반응형
'경제 관련 용어정리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딤돌대출/보금자리론/적격대출 (0) | 2022.10.31 |
---|---|
RTI (0) | 2022.10.31 |
LTV(담보인정비율), DTI(총부채상환비율) (1) | 2022.10.11 |
부동산 공시가격 (0) | 2022.10.06 |
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가점제 (0) | 2022.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