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 세계화(glovalization)와 현지화(localization)를 동시에 추구하는 경영전략
세계 최대 패스트푸드 업체인 맥도날드는 자본주의의 상징으로 불린다.
100여개국에 진출해 어느 나라를 가든 쉽게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맥도날드는 빅맥으로 가장 유명하지만, 지역에 따라 현지화 전략을 영리하게 구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예컨대 1988년 한국에 들어오면서는 다른 나라엔 없는 불고기 버거로 국내 소비자의 입맛을 공략했다.
소를 신성시하는 인도에선 소고기를 뺀 햄버거를 팔고, 이슬람국가에선 매장 내 남녀 좌석을 구분하기도 한다.
맥도날드의 사례처럼 통일된 콘셉트로 적극적인 세계화 전략을 추구하는 동시에 진출국의 문화를 존중하는 경영방식을 글로컬라이제이션이라 한다.
다국적 기업의 현지화 전략을 가리키는 말로 많이 쓰인다.
과거에는 많은 기업이 세계를 단일 시장으로 간주하고 표준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대량으로 보급하는 데 공을 들였다.
하지만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해외 진출은 실패하는 사례가 적지 않았다.
요즘은 진출국 문화와 소비자 요구에 맞춰 차별화된 상품을 선보이고, 현지법인에 본사 권한을 대폭 위임해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것이 대세로 자리 잡았다.
글로컬라이제이션의 목적은 지역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해 궁극적으로 전체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 있다.
다른 나라의 법률과 제도, 문화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해야 가능한 만큼 결코 만만한 일이 아니다.
스타벅스 역시 획일화된 맛과 표준화된 매장을 벗어나 글로컬라이제이션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다.
간판은 무조건 영어로 단다는 고집을 꺾고 서울 종로구 인사동 매장에 한글 간판을 내걸었다.
이천 햅쌀, 문경 오미자, 공주 밤 등을 활용한 신메뉴를 개발하기도 했다.
스마트폰 주문에 익숙한 한국인의 특성을 고려해 2014년 한국에서만 출시한 사이렌 오더도 큰 성공을 거뒀다.
직원과 소비자가 얼굴을 보고 주문해야 한다는 본사 원칙을 거스르는 것이었지만, 한국법인의 판단을 존중한 결과였다.
최근 스타벅스의 한국 매출은 연 1조원대로, 토종 커피전문점을 모두 제치고 압도적 1위를 유지하고 있다.
'경제 관련 용어정리 > 기업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레너미(frienemy) (0) | 2022.12.20 |
---|---|
파레토 법칙 / 롱테일 법칙 (0) | 2022.12.20 |
카니벌라이제이션(cannibalization, 자기잠식효과) 간단정리 (0) | 2022.12.20 |
규모의 경제 (0) | 2022.12.20 |
메기 효과 (0) | 202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