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성장률 (potential growth rate)
: 한 나라의 경제가 보유한 자본, 노동력, 자원 등 모든 생산요소를 사용해 물가 상승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대한 이룰 수 있는 경제성장률 전망치
잠재성장률은 한 나라의 자본, 노동력, 자원 등을 활용해 달성할 수 있는 경제성장률의 최대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키가 160cm인 중학생이 영양제 먹고, 운동하고 밥 잘 먹으면 180cm까지 클 수 있어요.
180cm가 이 학생의 잠재성장률이다.
잠재성장률은 국가 경제의 성장 잠재력 지표로 활용된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보통 5~10년간 성장률 전망을 고려해 잠재성장률을 산출한다.
한국의 잠재성장률 하락은 2가지 이유를 들 수 있다.
하나는 경제가 성숙 단계에 접어들며 나타나는 불가피한 현상이란 점이다.
어느 나라든 선진국이 되면 성장률이 둔해진다.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리는 게 쉽진 않다.
저출산과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노동 투입량을 확 늘리기 어렵다.
경제 규모가 이미 커져 자본 투입량을 늘리는 데도 한계가 있다.
전문가들의 조언으로는 생산성 향상이 유일한 해법이고
이를 위해 효율성이 떨어지는 공공, 노동, 금융 부문 등의 구조개혁을 통해 한국의 성장 잠재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한다.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2%대 초 떨어졌다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분석이 나왔다.
2010년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3.9%
2020년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2.5%
'경제 관련 용어정리 > 경제신문 기본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전고용 (0) | 2022.10.18 |
---|---|
골디락스 (Goldilocks) (0) | 2022.10.18 |
그린북 (Green Book) (0) | 2022.10.18 |
경기종합지수 (0) | 2022.10.17 |
경기순환 (0) | 2022.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