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일러 준칙
: 중앙은행이 금리를 결정할 때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에 맞춰 조정해야 한다는 원칙.
한국은행이나 미국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를 결정할 시기가 임박하면 경제신문에는 전문가들의 입을 빌려 기준금리의 향방을 예측하는 기사가 쏟아진다. 기준금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건 많은 사람이 안다. 그런데 과연 기준금리를 정하는 기준은 뭘까.
주요국 중앙은행은 테일러 준칙을 통화정책의 기본 모델로 삼고 있다. 중앙은행이 물가상승률과 경제성장률 등 경제 기초여건을 고려해 적정 범위에서 정책금리를 결정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1993년 이 논문을 쓴 존 테일러 스탠퍼드대 교수의 이름을 땄다. 테일러 준칙에 따르면 중앙은행은 실제 경제성장률과 잠재 경제성장률의 창인 GDP 갭과 실제 물가상승률 목표 물가상승률과의 차이인 인플레이션 갭에 가중치를 부여해 금리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물가상승률이 목표치를 웃돌거나 경제가 완전고용 상태에 이르렀을 때는 기준금리를 높여 경기를 안정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테일러는 중앙은행이 물가 변동에 대응해 금리 수준을 선제적으로 조정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봤다. 이 준칙을 활용하면 과거 기준금리가 당시 경제 상황에 적절한 수준이었는지를 사후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중앙은행이 물가안정과 경제성장 중 어느 쪽에 더 중점을 뒀는지도 볼 수 있다.
시장을 중시하는 원칙주의자로 유명한 테일러는 트럼프 정부에서 강력한 Fed 의장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경제주체에 통화정책에 대한 신뢰를 심어주고, 시장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테일러 준칙과 같은 원칙에 입각한 통화 정책 운용을 법으로 명시하자는 주장이 나온다.
'경제 관련 용어정리 > 세금, 은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급준비율 (0) | 2022.12.04 |
---|---|
공개시장운영 (0) | 2022.12.04 |
비둘기파 / 매파 (0) | 2022.12.04 |
현금 없는 사회 (0) | 2022.12.04 |
시뇨리지(화폐주조차익) (0) | 2022.12.04 |